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MDN
- stompjs
- shadcn
- 코딩테스트
- 배열
- tanstack query
- 컴포넌트설계
- 프론트엔드
- React Query
- frontend
- @stomp/stompjs
- npm
- 자바스크립트
- 스나이퍼팩토리
-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
- pnpm
- 공식문서
- Server State
- React
- 프로젝트
- sucoding
- TypeScript
- JavaScript
- 배열메서드
- 실시간통신
- 리액트프로젝트
- radixui
- 라이브러리
- 프로젝트캠프
- 수코딩
- Today
- Total
yunicornlab
[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] React 2기 - 프로젝트 첫 오프라인 회의 본문
매일 데일리스크럼을 온라인으로 15분~30분 정도 진행하다가 목요일에 처음으로 오프라인 회의를 진행해보았다!
정말... 다사다난했다🤣
정말 다양한 문제들과 마주했고, 신기하고 다행히도 모두 다 해결하고 끝낼 수 있었다.
일단 오늘 오프라인 회의의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.
1. Git 협업을 위한 명령어 흐름 정하기
2. 각자 작업한 기능 PR & Merge 진행
3. 배포 툴 정해서 배포 진행하기
4. 컴포넌트 분리 및 폴더 구조 확정하기
5. 회계 서류 작성
6. 프로젝트 일정 및 더 깊게 생각하기
Git 명령어 연습 및 흐름 확정짓기
push를 어떤 브랜치에 하고, pull과 merge를 어떤 순서로 사용할지 이런 흐름이 나도 아직 헷갈린 채로 모였다.
영차영차 고민하고 테스트한 결과, 아래 흐름이 베스트라고 생각했다.
// develop 브랜치로 이동
git checkout develop
// develop 코드를 깃허브에서 가져옴
git pull origin develop
// 작업중인 브랜치로 이동
git checkout feature/기능
// 병합
git merge develop
이후 충돌 해결
// 깃허브에 업로드
git push origin feature/기능
가급적 병합시 충돌 해결은 로컬에서 해결하고 push하는 방향으로 설계했다.
예전에 깃허브에서 충돌 해결하려고 했다가 더 불편했던 기억이 있었다.
rebase 방법도 있지만 나는 merge가 좀 더 간편한 것 같아서 merge를 사용하기로 했다.
이걸 정한 후에 각자 이 흐름대로 병합을 진행하니까 문제 없이 깔끔하게 병합되었다!
이때도 저번에 만들어놓은 git test repository로 연습 후에 진행했다.
Vercel로 배포 이슈
배포 도구가 여러 후보가 있었지만, 역시 Vercel만큼 편한 게 없는 것 같다🥹
그래서 Vercel로 정한 후 배포를 진행하려고 했는데, 웬걸... 유료가 됐다!!?
개인 Repository이면 무료인 것 같은데, Organization으로 생성한 Repository는 유료가 되었다.
내가 3~4월에(6개월쯤 전) 프로젝트할때만 해도 유료가 아니었는데ㅠㅠ
그래서 일단 2주 무료 + 2주 유료는 팀 지원금으로 해결하면서 배포하고,
나중에 포트폴리오로 사용할 때는 개인 Repository로 Fork해서 다시 배포해야할 것 같다....
이것 때문에도 당황했다.
Git Merge 권한 이슈
원래는 GitHub Repository 규칙으로, 정해놓은 인원수 이상 승인을 해야 병합되도록 해놨는데, 내가 인원수 설정을 잘못한 것도 있었고 RuleSet 부분과 또 승인 규칙 부분이 헷갈리고 프로젝트 진행에도 방해가 될 것 같아서(오히려 생산성 저하가 될 것 같아서) 다시 해제해놓았다. 대신 라이브러리는 사전 회의 후에 통과되면 설치하기로 하고 3주차쯤 시간이 되면 코드리뷰 시간도 가져볼까 생각하고 있다.
이 부분을 내가 좀 더 잘 알아놓고 갔으면 팀원들이 헷갈리지 않았을 텐데 ㅠㅠ 미안했다.
기타 골치아프게 했던 이슈
이 외에도 팀원의 노트북에서 디스코드 화면 공유가 (원래 잘 됐었는데) 갑자기 안되는가 하면,
내 노트북에 git clone 받았더니 갑자기 node.js 버전 에러가 뜨기도 했고
파이브스팟 이용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문제가 좀 있었다...
이런 엉망진창 우왕좌왕하는 상황에서도 팀원들이 다들 적극적으로 참여해주고 분위기도 너무 좋게 잘 있어주셔서 정말 정말 감사했다😂
부족한 팀장을 좋아해주어서 고마워요 여러분...
다음 회의때는 더 준비를 잘 해봐야겠다.
'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빌드 설정 파일(rollup.config.cjs) 파헤치기 (0) | 2025.04.04 |
---|---|
나만의 라이브러리를 만들어보자! npm 배포 도전기 (0) | 2025.03.28 |
채팅 구현에 @stomp/stompjs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이유 (0) | 2025.03.28 |
[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] React 2기 - 프로젝트 1주차 기획 회고 (4) | 2024.09.08 |